Skip to main content

고혈압 약, 꼭 먹어야 하나요?

청진기를 들고 있는 간호사의 모습 위에 '혈압약, 꼭 먹어야 하나요?'라는 문구와 '혈압약의 이모저모'라는 부제목이 있으며, 하단에는 질병과 건강 by myRNnextdoor.com이 적혀 있다.


고혈압은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질환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증세가 없어 "고혈압약을 꼭 먹어야 하나요?"라는 의문을 갖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고혈압 약의 필요성, 약물 치료의 이점 및 대안에 대해 정리해드립니다.

고혈압의 진단 기준

여러 날에 걸쳐 측정한 평균 혈압이 130/80 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됩니다 (정상 혈압은 120/80 mmHg).

초기 고혈압은 의사의 조언에 따라 운동, 식단 개선, 체중 관리 등 생활습관 개선으로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고혈압 약이 필요한 이유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릴 만큼 증상이 거의 없습니다. 약물 치료는 혈압을 안정적으로 낮추고 뇌졸중, 심장병, 신장 질환 같은 합병증 위험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고혈압 약물의 종류와 작용

1. 이뇨제 (Diuretics)

  • 예: Hydrochlorothiazide, Furosemide
  • 작용: 체내 수분과 나트륨 배출 → 혈압 감소
  • 부작용: 탈수, 전해질 불균형, 피로감

2. 베타 차단제 (Beta-blockers)

  • 예: Metoprolol, Atenolol
  • 작용: 심박수 감소 → 혈압 저하
  • 부작용: 수족냉증, 우울감, 피로

3. ACE 억제제 (ACE Inhibitors)

  • 예: Lisinopril, Enalapril
  • 작용: 혈관 수축 호르몬 생성 억제
  • 부작용: 마른기침, 고칼륨혈증, 임산부 금기

4. ARBs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 예: Losartan, Valsartan
  • 작용: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
  • 부작용: 어지러움, 피로, 고칼륨혈증

5. 칼슘 채널 차단제 (CCBs)

  • 예: Amlodipine, Diltiazem
  • 작용: 혈관 이완 → 혈압 감소
  • 부작용: 부종, 두통, 변비

약물 요약표

약물 종류 예시 약물명 작용 방식 주의사항
이뇨제 Hydrochlorothiazide, Furosemide 체내 수분 배출 → 혈액량 감소 저칼륨혈증, 탈수
베타 차단제 Metoprolol, Atenolol 심박수 감소 서맥, 피로감, 천식환자 주의
ACE 억제제 Lisinopril, Enalapril 혈관 수축 물질 생성 억제 마른기침, 고칼륨혈증, 임산부 금기
ARB Losartan, Valsartan 안지오텐신 II 작용 차단 기침 적음, 임산부 금기
CCB Amlodipine, Diltiazem 혈관 평활근 이완 부종, 두통, 얼굴 붉어짐

복용 시 주의사항

  • 약물은 개인의 상태에 따라 효과나 부작용이 다르므로,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 후 복용하세요.
  • 혈압약은 갑자기 끊지 마세요. 특히 베타 차단제ARBs는 중단 시 혈압이 급상승할 수 있습니다.
  • 노인분들은 약 복용 시간 착오로 인해 과다복용 위험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론

고혈압은 약물 치료와 건강한 생활습관을 병행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꾸준한 식단 조절, 운동, 체중 관리, 그리고 정기적인 혈압 측정을 통해 약 용량을 줄이거나, 의사의 판단에 따라 약을 중단하는 것도 가능해요.


👉건강한 혈압 관리 식단, DASH Vs 지중해 식단
👉고지혈증, 콜레스테롤이 높다고요? 



※ 본 포스트는 Mayo Clinic, NIH, AHA (American Heart Association), FDA 등의 공신력 있는 의료기관의 정보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이 글에 포함된 고혈압 약물 및 치료 관련 정보는 미국 FDA, Mayo Clinic, NIH, AHA 등 공신력 있는 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개인의 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이나 치료, 또는 전문적인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문제로 진단이나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성인 학생(Adult Student)으로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 에서 간호학 공부하기

Study Nursing at Community College as an Adult Student. 미국에서는 나이에 상관없이 간호 공부를 시작하는 분들이 정말 많아요. 저도 40대 중반에 공부를 시작해서 49세에 뉴그래드 간호사로 일을 시작하게 되었어요. 오늘은 제가 했던것 처럼 성인 학생으로,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간호학을 공부하는 방법 및 절차를 알려드리려고 해요. 왜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간호학을 시작할까요? 미국의 커뮤니티 칼리지(Community College)는 2년제 공립 대학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수업도 다양해서 성인 학생들도 부담 없이 공부를 시작하기 좋은 환경이에요.

나이 들어 공부하기, 정말 힘들까요?

배움에는 나이가 없다? 제가 간호학 공부를 시작한 건 47세되던 해 봄 이었어요. 등록을 마치고 첫 수업에 들어갔는데, 교수님이 35세였어요. 박사까지 하신 분인데 저보다 한참 어리셔서 놀랬어요. 미국 생활이 오래되다 보니 나이를 잘 안 세게 되더라고요. 처음엔 나이에 대한 걱정보다는 설렘과 다짐이 더 컸는데 막상 캠퍼스에 앉아보니, 선수 과목 수업에서 제가 제일 나이 많은 학생이었어요.

외래 수술센터 간호사, 워라벨과 전문성을 동시에

Same Day Surgery Center/ Pre-op, PACU 간호사로서는 응급실에서만 일해본 저에게 외래 수술센터(Outpatient Surgery Center)는 새로운 경험이었어요. 병동이나 응급실과는 다른 리듬이 있고, 무엇보다 환자 상태가 안정적이며 퇴원이 빠르다는 점이 큰 차이였어요. 저는 현재 pre-op과 PACU(회복실) 간호사로 세군데 외래 수술센터에서 Per-diem으로 일하고 있는데 다루는 주요 케이스는 센터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나열해 보면면 다음과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