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미국 테네시주 밴더빌트 대학병원에서 발생한 의료 사고는 아직도 많은 간호사들 사이에서 회자됩니다. 환자에게 진정제를 투여해야 했던 간호사가 Versed 대신 전신마취제인 Vecuronium을 실수로 투여했고, 환자는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간호사 RaDonda Vaught는 의료 과실뿐 아니라 형사책임까지 지게 되었고, 이는 미국 전역의 간호사들에게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그 이후 간호사들 사이에 하나의 질문이 떠올랐습니다. “나도 이런 일이 생기면, 나를 지켜줄 무언가가 있을까?” 간호사들의 실수, 간호사도 사람입니다! 간호사들도 사람인지라 완벽할수는 없어요. 대부분의 실수는 과중한 업무와 교대 근무로 인한 피로, 불완전한 시스템, 의사소통 오류 등 복합적인 요인에서 비롯됩니다. 약물 자동 디스펜서의 인터페이스 문제나 전자차트의 혼란, 빠르게 판단을 내려야 하는 응급 상황 등은 누구나 실수를 할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하기도 합니다. 간호사라는 직업은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만큼, 늘 예상치 못한 리스크와 마주합니다.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투약 실수나 charting 오류 환자나 보호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오해 HIPAA 같은 프라이버시 규정 위반 간호사 면허에 대한 징계 위협 봉사활동이나 알바 중 발생한 문제 등 병원에서 제공하는 보험, 안심해도 될까? 대부분의 규모가 좀 큰 병원들은 보통 병원 자체에서 간호사들에게 제공되는 의료 과실 보험이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병원 보험이 있으니까 괜찮겠지” 라고 생각하는걸 많이 보았습니다. 하지만 조금더 알아보면 병원에서 제공하는 간호사 의료 과실 보험은 아래와 같은 한계가 있습니다. 병원 중심 방어: 병원의 이익을 우선시하여, 간호사 개인의 법적 방어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면허 방어 포함 안 됨: 간호사 면허 징계나 보드 출석에 필요한 변호사 비용은 대부분 포함되어 있...
미국 간호사가 파헤쳐 본 혈당 & 체중 관리의 새 지평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이웃집 미국 간호사입니다! 건강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요즘 '위고비', '오젬픽', '마운자로' 같은 이름들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거예요. 아니면 '살 빼는 주사'니 '기적의 약'이니 하는 말들로 테슬라 앤론 머스크가 효과를 봤다거니, 오프라 윈프리가 효과를 봤다거니 하는 뉴스를 들어 보셨을 거예요. 요즘 미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이 약들 때문에 아주 뜨겁습니다. 저도 병원에서 매일같이 이 약을 처방받고 사용하시는 환자분들을 만나고 있는데요. TV, 유튜브, 뉴스에서도 연일 이 약에 대한 이야기가 쏟아져 나오죠. 도대체 이 약이 뭐길래 이렇게 화제가 되는 걸까요? 제가, 병원에서 직접 경험하고 보고 느낀 내용들을 바탕으로 GLP-1 약 이 과연 어떤 약인지, 정말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부작용과 주의사항은 없는지 솔직하고 쉽게 알려드릴게요. 복잡한 의학 용어는 최소화하고, 우리 이웃분들이 궁금해하실 만한 핵심만 쏙쏙 뽑아보겠습니다. 자, 그럼 함께 파헤쳐 볼까요? GLP-1, 그래서 정확히 뭔데? (기본 개념부터 차근차근) 가장 먼저, GLP-1 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볼까요? GLP-1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ucagon-Like Peptide-1)'의 줄임말입니다. 이름만 들으면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아주 중요한 '장 호르몬' 중 하나예요. 식사 후 분비: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소장에서 GLP-1 호르몬이 분비되기 시작합니다. 인슐린 분비 촉진: 이 호르몬은 췌장을 자극해서 혈당을 낮추는 호르몬인 인슐린이 더 잘 분비되도록 돕습니다. 그런데 이때 중요한 건, 혈당이 높을 때만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는 거예요. 혈당이 정상으로 내려오면 인슐린 분비를 멈추기 때문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