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 원인, 증상, 차이점 총정리

무릎이 시큰, 손가락은 뻣뻣? 관절염의 두 얼굴, 퇴행성 vs 류마티스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가락이 뻣뻣해서 주먹이 잘 쥐어지지 않으신가요? 혹은 계단을 오르내릴 때마다 무릎이 시큰거리고 삐걱대는 소리가 들리시나요? 많은 분들이 이런 관절 통증을 그저 나이 탓이나 피곤해서 그런 것이라고 생각하고 넘기곤 합니다. 하지만 관절 통증에는 서로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가장 흔한 관절염인 퇴행성 관절염(OA) 과 류마티스 관절염(RA) 이 어떻게 다른지, 핵심만 쏙쏙 뽑아 알기 쉽게 비교해 드릴게요. PART 1. 다른 관절염, 원인부터 달라요!  본격적인 비교에 앞서, 두 질환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유를 들어 설명해 드릴게요. 🦴 퇴행성 관절염 (Osteoarthritis, OA): 오래 쓴 자동차 타이어 오랜 시간 체중을 견디고 많이 사용하면서 관절 사이의 쿠션 역할을 하는 연골이 닳아 없어지는 기계적인 마모 에 가깝습니다. 나이와 관련 있으며 주로 무릎, 엉덩이 관절, 척추 등 체중이 많이 실리는 관절에 잘 생기죠. 💥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RA): 아군을 공격하는 군인 우리 몸을 지켜야 할 면역체계가 착각을 일으켜 우리 몸의 관절을 '적'으로 오인하고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 입니다. 이로 인해 염증이 생기고, 관절이 붓고 아프며, 치료하지 않으면 관절 변형까지 올 수 있습니다. 주로 생기는 부위는 손가락, 손목, 팔꿈치 — 양쪽 대칭성 통증 출처: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12061-arthritis  PART 2. 퇴행성 vs 류마티스, 한눈에 비교하기 구분 항목 퇴행성 관절염 (OA) 류마티스 관절염 (RA) 원인 ...

당뇨란 무엇인가?

청색 유니폼을 입은 간호사가 청진기를 들고 있는 모습. 이미지 중앙에는 '당뇨란 무엇인가?', '당뇨증상의 이모저모', 하단에는 '질병과 건강 by myRNnextdoor.com' 문구가 적혀 있다.


당뇨, 그냥 혈당만 높다는 걸까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걱정하시는 질병 중 하나, 당뇨병(Diabetes)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솔직히 처음 당뇨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저는 별로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어요. 그냥 "설탕 좀 덜 먹으면 되는거 아님?" 하고 쉽게 생각했죠. 그런데 간호사가 되고 보니, 이게 정말 만만한 병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되었어요. 그래서 오늘은 당뇨병이 무엇인지,어떤 증상이 있는지,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되도록 쉽게 알려드릴게요.

당뇨병, 정확히 뭔가요?

당뇨병은 혈액 속의 포도당(혈당)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를 말해요. 보통 음식을 먹으면 우리 몸은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을 만들어 혈당을 조절하는데, 이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작용하지 않을 때 당뇨병이 발생하게 돼요. 당뇨병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요:

제1형 당뇨병(Type 1):

주로 어린 나이에 발병하고, 이자에서 선천적으로 스스로 인슐린을 만들지 못하는 형태예요.

제2형 당뇨병(Type 2):

인슐린이 제대로 분비 되지 않거나 작용하지 않아서 생기는 가장 흔한 형태로, 생활습관과 관련이 깊어요.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임신 중에 일시적으로 혈당이 높아지는 경우예요. 대부분의 경우 출산과 함께 정상으로 돌아 와요. 이 중에서도 가장 흔한 건 여러분 주위에서도 흔히 들어 보셨을 Type 2(제2형) 당뇨예요.

도대체 왜 생기는 걸까요?

당뇨병이 생기는 이유는 정말 다양하지만, 특히 제2형 당뇨병은 다음과 같은 원인이 대표적이에요. - 유전적 요인 (가족 중 당뇨가 있는 경우) - 과도한 체중 또는 비만 - 운동 부족고열량,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사 습관 - 스트레스가 심한 생활 한마디로 이야기하면 생활습관과 식습관이 큰 영향을 미치는 현대인의 질병이예요.

당뇨병, 이런 증상 조심하세요

사실 당뇨는 초기에 별다른 증상이 없어서, 모르고 지내다가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도 자주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들은 다음과 같아요: ✔ 잦은 갈증, 잦은 소변, 잦은 배고픔 (3Ps in Diabetes: Polyuria, Polydipsia, Polyphagia) ✔ 피로감이 심해짐 ✔ 갑자기 체중이 줄거나 늘어남 ✔ 피부가 건조하거나 상처가 잘 안 낫는 경우 이런 증상이 이유없이 반복 되면 꼭 한번 병원에서 검사해 보시는 게 좋아요.

당뇨병, 어떻게 진단하나요?

당뇨병은 간단한 혈액검사로 알 수 있어요.

✅공복혈당:

8시간 이상 금식 후 측정한 혈당이 126 mg/dL 이상

HbA1c(최근 3개월의 평균 혈당):

HbA1c 수치 진단
5.6% 이하 정상 (Normal)
5.7% ~ 6.4% 당뇨 전단계 (Prediabetes)
6.5% 이상 당뇨병 (Diabetes)

경구 당부하 검사

(당을 마신 후 2시간 뒤 측정): 혈당이 200 mg/dL 이상 보통 이 중 한 가지 이상이 나오면 당뇨병으로 가고 있다고 진단해요.

당뇨,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까요?

당뇨는 꾸준한 관리가 핵심이에요. 크게 보면 식이요법, 운동, 약물로 나눌 수 있어요.

☝식이요법

당지수가 낮은 음식(현미밥, 통곡물빵, 채소 등) 먹기 가공식품, 설탕이 많은 음식 피하기 탄수화물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운동

하루 30분 이상, 주 5회 이상 걷기, 자전거, 수영 등 유산소 운동 과 근력 운동. 꾸준한 근력운동으로 허벅지와 종아리등 큰 근육들을 잘 관리 하셔야 해요.

약물치료 (경구약 vs. 인슐린)

당뇨 관리에 많이 쓰는 약들은 다음과 같아요. 경구약(먹는 약) 대표적인 약은 메트포민(Metformin)인데, 이 약은 혈당을 낮추고,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는 역할을 해요. 보통 초기에 가장 먼저 처방되는 약이고, 규칙적으로 잘 복용하면 큰 도움이 돼요. 인슐린 주사 인슐린은 몸에서 인슐린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을 때 직접 주사로투여하는 방법이에요.특히 제1형 당뇨나 제2형 당뇨가 심한 경우에 쓰이죠. 주사를 맞아야 해서 처음엔 힘들 수 있지만, 혈당 조절에는 효과적이에요. 세마글루타이드, GLP-1 수용체 작용제
최근에 급부상한 오젬픽(Ozempic)은 FDA승인을 받은 당뇨병 치료용 주 1회 자가 주사제인데 체중감량 효과 까지 있어서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어요. **약은 의사와 꼭 상의해서 본인에게 맞는 방법으로 써야 해요. 혼자 판단하면 위험할 수 있으니 꼭 전문의의 지시에 따르세요!

당뇨 관리 혹은 방지 생활 꿀팁!

저는 단 걸 정말 좋아하는데, 요즘엔 카페에 가서도 저당 옵션을 골라요. 마트에서도 무가당 요거트나 견과류 같은 건강한 간식을 주로 사죠. 하루에 15~20분 정도는 꼭 산책을 하려고 노력해요. 작지만 꾸준한 습관이 결국 혈당 조절에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마무리하며

당뇨병은 처음 진단 받았을때에는 당황스러울 수 있지만, 친구처럼 꾸준히 관리하면 충분히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어요. 혼자 어렵다면 언제든지 저에게 물어보셔도 좋고, 병원이나 주변 간호사에게 도움을 청해 보세요. 우리 함께 건강하게 지내봐요!


※ 본 포스트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당뇨병·소화기·신장질환 연구소(NIDDK)Mayo Clinic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 NIH – HbA1c Test 🔗 Mayo Clinic – A1c Test What is Diabetes, NIDDK/ NIH.gov

이 글에 포함된 약물 및 치료 관련 정보는 미국 FDA, Mayo Clinic, NIH 등 공신력 있는 의료기관의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개인의 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 치료, 또는 전문적인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건강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본 포스트는 2025년 4월, 가독성 개선 및 정보 구조 수정을 통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나이 들어 공부하기, 정말 힘들까요?

배움에는 나이가 없다? 제가 간호학 공부를 시작한 건 47세되던 해 봄 이었어요. 등록을 마치고 첫 수업에 들어갔는데, 교수님이 35세였어요. 박사까지 하신 분인데 저보다 한참 어리셔서 놀랬어요. 미국 생활이 오래되다 보니 나이를 잘 안 세게 되더라고요. 처음엔 나이에 대한 걱정보다는 설렘과 다짐이 더 컸는데 막상 캠퍼스에 앉아보니, 선수 과목 수업에서 제가 제일 나이 많은 학생이었어요.

성인 학생(Adult Student)으로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 에서 간호학 공부하기

Study Nursing at Community College as an Adult Student. 미국에서는 나이에 상관없이 간호 공부를 시작하는 분들이 정말 많아요. 저도 40대 중반에 공부를 시작해서 49세에 뉴그래드 간호사로 일을 시작하게 되었어요. 오늘은 제가 했던것 처럼 성인 학생으로,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간호학을 공부하는 방법 및 절차를 알려드리려고 해요. 왜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간호학을 시작할까요? 미국의 커뮤니티 칼리지(Community College)는 2년제 공립 대학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수업도 다양해서 성인 학생들도 부담 없이 공부를 시작하기 좋은 환경이에요.

응급실 간호사 어때요?

응급실 간호사의 현실 이야기 제가 처음 뉴그래드 간호사로 졸업 하고 처음 선택한 부서가 응급실(ER) 이었어요. 사실 어떤 부서를 택할까 고민이 많았는데 그냥 졸업전 여름에 널스 externship 할때 ER에서의 경험이 그닥 나쁘지 않고 많이 배웠기에 별 고민없이 ER을 택했어요. 지금은 ER을 떠났지만 지난 기억을 되살려 현장에서 느꼈던 이야기를 해 볼까 해요. 많은 분들이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 응급실 간호사를 보며 긴장감 넘치는 일을 상상하지만, 실제 현장은 어떨까요? 지금부터 리얼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